케이엠디지텍은 지난 30년간 한국 하네스 장비 시장을 선도해 온 전문 기업.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하네스 장비 개발과 솔루션 공급을 통해 국내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구축한 상태. 2016년 LIMS 자동압착기와 신형 어플리케이터 출시를 기점으로 기술력을 더욱 강화. 국내 1등을 넘어 세계 일류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초석을 다지는 중. 전선 가공 자동화 설비의 국산화 및 스마트화를 목표로 지속적인 연구 개발에 매진하는 기업.케이엠디지텍은지난30년간한국하네스장비시장을선도해온전문기업.혁신적이고창의적인하네스장비개발과솔루션공급을통해국내시장에서확고한입지를구축한상태.2016년LIMS자동압착기와신형어플리케이터출시를기점으로기술력을더욱강화.국내1등을넘어세계일류기업으로도약하기위한초석을다지는중.전선가공자동화설비의국산화및스마트화를목표로지속적인연구개발에매진하는기업.
대표 제품군/보유 기술대표제품군/보유기술
전자동 압착기 LIMS-A1은 전선 공급부터 절단, 탈피, 압착, 씰 삽입, 전선 받기까지 전선 가공의 전 과정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신모델. 최대 7,000mm/sec의 이송모터 속도와 4톤의 압착 능력을 보유하며, 피에조 센서 기반의 압착 관리 및 레이저 센서 탈피 검출 기능을 포함. 실시간 인코더를 통한 길이 보정 및 ERP 연동을 위한 네트워크 통신 지원 기능.전자동압착기LIMS-A1은전선공급부터절단,탈피,압착,씰삽입,전선받기까지전선가공의전과정을효율적으로처리하는신모델.최대7,000mm/sec의이송모터속도와4톤의압착능력을보유하며,피에조센서기반의압착관리및레이저센서탈피검출기능을포함.실시간인코더를통한길이보정및ERP연동을위한네트워크통신지원기능.
전자동 압착기 LIMS-P1B는 벨트 피딩 방식을 적용하여 얇은 전선부터 굵은 전선까지 길이 편차 없이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 자동 압착 높이 조절 기능인 오토하이트 시스템을 기본 제공하며, 레이저 탈피 센서로 심선 절단 시 100% 검출률을 자랑. 전선 이송부 에어 압력을 디지털로 조절 가능하며, 바코드, 스캐너 등 외부 입출력 장치와 연동 가능한 시스템.전자동압착기LIMS-P1B는벨트피딩방식을적용하여얇은전선부터굵은전선까지길이편차없이안정적인작업이가능.자동압착높이조절기능인오토하이트시스템을기본제공하며,레이저탈피센서로심선절단시100%검출률을자랑.전선이송부에어압력을디지털로조절가능하며,바코드,스캐너등외부입출력장치와연동가능한시스템.
디지털 전선 탈피기 KM-702N은 AWG12~AWG30 범위의 전선을 가공하며, Auto Strip Sensor를 통해 심선 굵기를 감지하여 칼값을 자동 설정하는 기능. 5라인 칼날을 적용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칼날 수명을 최대 5배 연장하며, 전단 탈피 후 롤러 자동 들기 장치로 심선 훼손을 방지. 100개의 저장 메모리와 다양한 센서로 정밀하고 안정적인 작업 환경 제공.디지털전선탈피기KM-702N은AWG12~AWG30범위의전선을가공하며,AutoStripSensor를통해심선굵기를감지하여칼값을자동설정하는기능.5라인칼날을적용하여생산성을높이고칼날수명을최대5배연장하며,전단탈피후롤러자동들기장치로심선훼손을방지.100개의저장메모리와다양한센서로정밀하고안정적인작업환경제공.
자동 절단기 KM-3300은 튜브, 절연지, 필름, 전선, 동판, 각종 호스 등 다양한 재료를 최대 300mm 폭까지 정밀하고 빠르게 절단하는 설비. 디지털 화면을 통한 손쉬운 기능 설정, 5개의 저장 메모리, 절단 속도 설정 기능을 포함. 재료 공급 장치 및 정전기 제거 장치와 같은 옵션 장치 장착 가능.자동절단기KM-3300은튜브,절연지,필름,전선,동판,각종호스등다양한재료를최대300mm폭까지정밀하고빠르게절단하는설비.디지털화면을통한손쉬운기능설정,5개의저장메모리,절단속도설정기능을포함.재료공급장치및정전기제거장치와같은옵션장치장착가능.
다양한 어플리케이터 제품군(KM-901C, KM-CA+01S, KM-AA+01S, KM-903AN, KM-903A)은 압착 높이 미세 조정 및 전선 공급 미세 조정을 통해 압착 불량을 최소화하는 기술. CAM 타입 및 에어 피딩 가이드 조절형 등 다양한 모델을 제공하여 고객의 작업 환경에 최적화된 솔루션 제공.다양한어플리케이터제품군(KM-901C,KM-CA+01S,KM-AA+01S,KM-903AN,KM-903A)은압착높이미세조정및전선공급미세조정을통해압착불량을최소화하는기술.CAM타입및에어피딩가이드조절형등다양한모델을제공하여고객의작업환경에최적화된솔루션제공.
씰 삽입 장치 LIMS-SU1, 컨베이어 유닛 LIMS-Conveyor, 전선 공급 장치 LIMS-Prefeeder 및 KMF-303과 같은 주변 장비들은 전자동 압착기와 연동하여 전선 가공 공정의 효율성과 자동화를 극대화하는 역할. 특히 KMF-303 전선공급기는 특수선 및 가는 선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보빈틀 회전 방식 채택.씰삽입장치LIMS-SU1,컨베이어유닛LIMS-Conveyor,전선공급장치LIMS-Prefeeder및KMF-303과같은주변장비들은전자동압착기와연동하여전선가공공정의효율성과자동화를극대화하는역할.특히KMF-303전선공급기는특수선및가는선의안정적인공급을위한보빈틀회전방식채택.
경쟁 우위 포인트경쟁우위포인트
30년 이상의 하네스 장비 시장 선도 경험을 바탕으로 한 독보적인 기술력과 노하우.30년이상의하네스장비시장선도경험을바탕으로한독보적인기술력과노하우.
LIMS 자동압착기 시리즈와 같은 혁신적인 제품 개발을 통한 기술 선도력.LIMS자동압착기시리즈와같은혁신적인제품개발을통한기술선도력.
고객의 요구를 반영한 커스터마이징 능력과 합리적인 단가 제공.고객의요구를반영한커스터마이징능력과합리적인단가제공.
자동화 설비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여 스마트 시대를 대비하는 미래 지향적 기술 개발 역량.자동화설비에인공지능기술을접목하여스마트시대를대비하는미래지향적기술개발역량.
국내 5개 영업소 및 해외 8개국 대리점을 통한 글로벌 네트워크와 신속한 고객 피드백 시스템.국내5개영업소및해외8개국대리점을통한글로벌네트워크와신속한고객피드백시스템.
원격 제어 및 중앙 컴퓨터 통제 시스템 개발을 통한 장비 관리 효율성 극대화.원격제어및중앙컴퓨터통제시스템개발을통한장비관리효율성극대화.
적용 산업적용산업
와이어링 하네스 분야는 자동차, 가전, 전자제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인 부품으로, 케이엠디지텍의 장비는 이러한 와이어링 하네스 생산 공정에 핵심적인 역할.와이어링하네스분야는자동차,가전,전자제품등다양한산업에서필수적인부품으로,케이엠디지텍의장비는이러한와이어링하네스생산공정에핵심적인역할.
노동집약적인 와이어링 하네스 산업의 생산성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자동화 솔루션 제공.노동집약적인와이어링하네스산업의생산성및효율성향상을위한자동화솔루션제공.
전기·전자·제어 산업 분야의 전선 가공 및 조립 공정에 필요한 설비 공급.전기·전자·제어산업분야의전선가공및조립공정에필요한설비공급.
주요 시장주요시장
모로코모로코
일본, 중국, 말레이시아, 인도일본,중국,말레이시아,인도
벨기에, 러시아, 터키, 포르투갈벨기에,러시아,터키,포르투갈
미국미국
인증/특허인증/특허
품질경영시스템 ISO 9001 인증 (2006, 2009, 2012년 획득)을 통한 품질 관리 시스템 구축.품질경영시스템ISO9001인증(2006,2009,2012년획득)을통한품질관리시스템구축.
CE 인증 획득 (디지털 전선 가공기 1999년, KM-806, KM-809D, KM-802N 2008년, KM-7000 2014년)으로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한 제품 안전성 확보.CE인증획득(디지털전선가공기1999년,KM-806,KM-809D,KM-802N2008년,KM-70002014년)으로유럽시장진출을위한제품안전성확보.
기술 혁신형 중소기업(INNO-BIZ) A등급 선정 (2007년) 및 벤처기업 확인 (2001년)을 통한 기술 경쟁력 인정.기술혁신형중소기업(INNO-BIZ)A등급선정(2007년)및벤처기업확인(2001년)을통한기술경쟁력인정.
수출유망중소기업 지정 (2001년, 2008년) 및 수출 백만불탑(2004년), 삼백만불탑(2006년) 수상으로 해외 시장에서의 성장 잠재력 입증.수출유망중소기업지정(2001년,2008년)및수출백만불탑(2004년),삼백만불탑(2006년)수상으로해외시장에서의성장잠재력입증.
우수자본재개발 대통령상 수상 (2001년)과 임성주 대표이사의 이달의 기능한국인 선정 (2016년)을 통한 기술 개발 및 인재 역량 인정.우수자본재개발대통령상수상(2001년)과임성주대표이사의이달의기능한국인선정(2016년)을통한기술개발및인재역량인정.